블록체인 기반 소셜미디어 플랫폼 스팀잇



안녕하세요. 부스트입니다. 제가 요즘 블로그에 좀 뜸했는데요. 그게 전부 스팀잇이라는 새로운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검색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워낙 이걸로 돈 버는 이야기만 나와있는 것 같아서 저는 좀 차분하게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이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생소할 수 있는데요. 정보와 데이터가 오가는 모든것들은 블록체인으로 이루어졌을 때 신뢰성을 가지게 되는것이잖아요. 그것에 기반한 플랫폼 서비스라고 보시면 되요. 


장점으로는 회사를 통해야 판매가 쉬운 현재는 영세한 컨텐츠 제작자 (미술, 음악 관련된 일을하시는 분들)이 제대로 보상 받을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있고요. 단점으로는 찾아보자면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이기 때문에 하는 행동 글 댓글 하나까지 모든 정보가 영구히 기록된다는 사실이겠지요. 





스팀에는 다양한 개념과 화폐가 있는데요. 스팀, 스팀달러, 스팀파워가 있어요. 자세한 이야기는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팀에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시려면 Steem.io 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환전의 경우에는 현재 위와같은 플랫폼에서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즘 워낙 우리나라 신문과 뉴스에서 코인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데요. 스팀잇은 초기 비용이 전혀 필요없고 컨텐츠 만으로 스팀을 얻을 수 있기에 사기 같은 경우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오히려 현재 스팀잇에서 한국 커뮤니티의 규모가 가장 큰 편이기 때문에 잘 활용하시면 많은 도움 받으실 수 있을껍니다.





현재 제가 운영하고 있는 스팀잇인데요. https://steemit.com/@boostyou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된 정보가 많기는 하지만 처음 개념잡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하시면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이나 연락주세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기 써있는 금액이 있잖아요. 저기에 적혀 있는 금액에서 최소 75% 만큼을 줍니다. 현재 스팀 및 스팀달러 환율에 대비해서 보시면 글 하나에 어느정도 수입을 얻을 수 있는지 아시겠지요. 블로그와 마찬가지로 아무나 다 저 수익을 얻을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만 기존의 블로그보다는 수익 올리기가 훨씬 쉽겠지요. 





이게 제가 운영하고 있는 스팀잇 지갑에 있는 금액인데요. 이제 22일 정도 되었는데 996 달러의 가치를 지닌 계정이 되었네요. 제가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 한달 애드센스 광고수입이 약 10만원 정도인것에 비해서는 말도 안되는 돈을 벌고 있는 셈이지요.


현재 가입절차가 꽤나 오래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스팀잇이 매력적이시라고 느껴지시면 가입신청하시고 대기하는 동안 핑크빛 미래를 꿈꾸면서 검색해서 준비하시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한번 스팀잇 해보시겠나요?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